본문 바로가기

차키 잃어버렸을때 이야기

마곡동 등촌동 염창동 차키분실 스마트키 & 자동차키제작 HG 그랜저

미세먼지와의 긴긴 싸움은
도대체 언제 끝나려는지,....

안녕하세요.
오늘 하루도 마스크를 달고 살면서
평소 무심코 들이마시던 맑은 공기가
얼마나 고마웠는지를 새삼 느껴봅니다.

이번에도 마찬가지로 전국 차키제작 전문
기술점을 찾아 작업후기를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번에는 서울 강서구 지역, 특히
마곡동 등촌동 염창동 차키 분실로 인해
새로운 키제작 복원작업이 이뤄진
내용을 소개해드립니다.




마곡동이나 등촌동은 사실 김포공항쪽에
가까이 붙어 있는 강서구쪽에서도 윗쪽에
해당하는 지역입니다. 

이번 자동차키 출장은 그보다는 좀더
아래 지역인 염창동 지역에서 차키를
잃어버린 분이 계셔서 출장을
나가게 되셨다고 합니다.

차종은 그랜저HG 이고 키타입은
스마트키 옵션이라고 합니다.

사진에서는 스마트키를 차량에
등록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통신연결을
위해 OBD 짹에 정확하게 연결,
변수 없이 작업을 할 준비를 했습니다.




위의 사진은 아직 스마트키 입력작업을
즉, 프로그램 코딩 작업을 하기 전입니다.
불꺼진 계기판은 과연
다실 살아날 것입니까?

처음에 스마트키를 2개씩 받는데
보통 하나를 잃어버리고 나서는
평소에 복사를 해둘 것을~~~
하고 후회를 하게 됩니다.

정말이지 예비키도 없이 차키를
잃어버리면 
반드시 자동차키제작을 해야 하니므로
여간 불편한 일이 아닙니다. 

자동차키를 복사하는 것은
자동차키제작, 스마트키 복원 작업을
할 때보다도 더 시간도 적게 들고, 비용도 좀
더 저렴합니다.




이번 염창동 차키분실팀이 현장으로 도착,
분실한 스마트키를 복원,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인근에 위치한 등촌동 차키분실팀과
좀더 윗쪽에 위치한 마곡동 차키 분실
제작팀은 당시 출동지역 근방에서
작업을 하고 계셨다고 합니다.

따라서 염창동 차키팀으로 작업 배정!!!
염창동 지역에 위치한 차량과
차량번호를 확인 후 해당 지역
담당 기술자가 출동하여 조치된 건으로
HG 스마트키 분실 제작과 등록이
진행되었습니다.




우선 현장에서 염창동 차키 팀이 조치한
최초의 작업은 바로 차량의 잠긴문을
통해서 키를 복원하는 일이었습니다.

차문이 잠겼을때에도 키구멍으로
키를 만든다는게 이해가 안되실지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자동차키제작 복원은 문이
잠겨있던 열려있던 상관없이 키박스
내부의 핀들의 위치를 확인해야 하는
관계로 일단 키복원을 위해 핀높이를
측정하는 작업이 이뤄졌습니다.

이 모든 작업, 즉 실제 자동차 열쇠를
제작 하는 일과 스마트키를 차량에
등록하는 일로 요약됩니다.




염창동 차키분실팀이 인근 지역의 정비소에
정비 도중 분실한 차키를 대신해
새로운 스마트키를 등록 요청하셔서
현장에서 작업이 바로 이뤄졌습니다.

당연히 비상열쇠를 복사를 해야 하고,
이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동시에 스마트키를 등록하는 작업을
빠르게 진행하였습니다.




가까운 지역에 마곡동 차키 분실팀이
위치해있고, 마찬가지 염창동 차키 분실팀
역시, 거리가 서로 멀지 않고,
기술자들이 서로 협력해서 일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서로의 작업에 시너지가 납니다.

그렇기에
서로의 위치에서 차주의 차량의 위치에
가까운 팀이 있다면, 해당 팀이
현장으로 출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합니다.  참 합리적인 생각을 가지신 분들이죠.

작업은 현장에서 HG 그랜저 스마트키
학습과 동시에 완료가 되고,
차량은 스마트키 테스트와
함께 진행이 되었습니다.




차주의 입장에서도 현장에서
많이 기다릴 필요 없이, 시간을 줄이고
빠른 현장작업이 이뤄지길
바라는 마음뿐일 것이니다.

이렇게 지역별로 연결된
협력 기술자분들과 함께 일을 처리하여
보다 빠른 출장이 되도록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니, 차주들의 만족도도
올라갈 수밖에요..

어떻게 보셨나요. 차키제작
키114가 전국 어디에서든 키를 분실해도
현장에서 빠른 작업이 가능한 이유를
이제 조금이나마 이해가 되시죠?

그렇습니다. 일의 효율성과
합리성, 융통성은 차키 기술자들에게
요구되는 덕목이 아닐까 합니다.

어쨌든 이렇게 해서 작업이 완료되어
보람있는 하루를 보낼 수 있었습니다.





 

반응형